본문 바로가기
부동산 정보

건축의 심리학 (GREEN)

by propmate_ceo 2025. 1. 26.
반응형

 

안녕하세요.

프롭메이트 입니다.

저번 편에 건축이 단순히 구조물을 세우는 것에 그치지 않고 사람의 감정, 생각,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담아내는 복합적인 작업이라고 말씀 드렸는데요.

그중에서도 컬러는 공간의 성격을 규정하고 사용자에게 깊은 인상을 남기는 중요한 도구 이기도 하죠.

그래서 오늘은 건축 심리학이란 주제의 두번째 이야기로 그린 컬러가 공간에 미치는 심리적 영향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해요.

그린 하면 우리는 가장 먼저 무엇을 떠올릴까요?

자연을 가장 잘 상징하는 색으로 모두가 인지하고 있어요.

이 색은 안정감, 편안함, 그리고 재생의 느낌을 주는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스트레스 해소, 집중력 강화, 그리고 창의성 향상에 효과 적이죠.

 

 

주거 공간에서의 그린 컬러 : 힐링과 휴식

주거 공간에서의 그린 컬러

집은 몸과 마음이 쉴 수 있는 안식처 이죠?

여기에 그린 컬러를 더하면 자연이 주는 치유의 힘을 느낄 수 있어요.

벽 한쪽을 연한 올리브 그린으로 칠하거나, 그린의 쿠션과 식물을 배치하여 공간에 자연스러운 따뜻함을 더 해주시고 하죠.

이러한 인테리어는 집 공간이 주는 아늑함으로 마음의 안정을 가져다 줄 수 있어요.

벽면의 그린 컬러가 톤이 다크하지 않는 명도가 높은 컬러를 활용하는 것을 추천 합니다.

이러한 공간 인테리어도 건축의 심리학에서 아주 중요한 요소입니다.

 

 

공공 및 업무 공간에서의 그린 컬러 : 생산성과 협업 강화

공공 및 업무 공간에서의 그린 컬러

 

업무 공간이나 공공 시설에서의 그린 컬러는집중력을 높이고 협업을 촉진 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어요.

싱가포르의 한 사무 건물은 옥상과 외벽을 녹지로 덮고, 내부 공간에도 다양한 그린 톤을 활용했는데요. 직원들은 창밖의 초록색을 보며 스트레스를 해소하고, 회의실의 녹색 테이블은 협력과 소통을 촉진하는 역할을 한다고 해요.

싱가포르 빌딩 저도 직접 보진 못했지만 외관을 보는 외부인 조차도 힐링 될 수 있는 관광의 요소가 될 수 있겠네요.

 

 

병원 공간에서의 그린 컬러 : 수술실 벽면이 왜 초록색일까요?

병원 공간에서의 그린 컬러

 

수술실은 다소 무서운 공간 처럼 느껴지기 때문에 심리적인 안정감을 주기 위해 초로색 벽면 인테리어를 했다고 생각하실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다 이유가 있어요. 잔상 현상에 대해서 들어 보셨을까요?

잔상현상은 자극 대상을 일정 시간 주시한 다음 눈을 감거나 다른 장소로 시선을 돌렸을 때 나타나는 시각적 효과 인데요. 대부분의 수술에서는 출혈이 불가피하죠.

만약 의사가 강한 조명 아래서 오랫 동안 수술하면서 붉은 피를 계속 보게 된다면, 빨간색을 감지하는 원추세포가 피로해 지게 되요.

이때 하얀 가운을 입은 동료의사나 간호사를 바라보면 빨간색의 보색인 잔상이 남는데요.

이 잔상은 의사의 시야를 혼동시켜 집중력을 떨어 뜨릴 수 있기 때문에 잔상을 느끼지 못하도록 수술실에서는 초록색 가운 그리고 초록색 벽면을 사용 하는 이유 입니다.

이부분은 색채학에서도 많이 쓰는 용어 인 보색잔상으로 여러분들이 모르는 비밀이 있었답니다.

 

 

상업 공간에서의 그린 컬러: 고객의 마음을 여는 비밀

상업 공간에서의 그린 컬러

 

레스토랑, 카페, 상점 등 상업 공간에서는 그린 컬러를 활용하여 신뢰감과 지속 가능성을 강조할 수 있는데요.

한 카페의 외관을 보면 입구 벽면 전체가 그린 톤으로 가득 채운 공간을 제공합니다.

내부에도 그린 톤의 포인트 의자나 벽면 포인트 그린 페인트 등으로 공간을 채우기도 하죠.

이러한 인테리어는 단순한 카페를 넘어 고객들에게 휴식과 재충천의 경험을 선사 하기도 하며 재방문율을 높이는 결과를 가져온다고 하네요.

 

그린 컬러는 다양한 공간에서 긍정적인 심리적 효과를 발휘하며, 우리의 삶에 자연의 평온함을 더해줍니다.

다음에는 다른 색상의 심리적 효과와 그 활용 사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여러분이 경험하신 그린 컬러의 공간은 어떤 느낌이었나요? 댓글로 공유해 주세요!

반응형